본문 바로가기
이슈

주택임대 사업자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의무 가입 시행 위반시 징역 또는 벌금 형사처벌

by Mynickname 2021. 5. 11.
반응형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의무 가입 시행

2020년 7월 10일 부동산 대책에 따라 지난 2020년 8월 18일부터 등록 임대사업자는 임대보증금 보증보험 가입을 의무적으로 해야 합니다. 임대보증금 보증보험 제도는 임대차 계약이 끝났을 때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임차인이 보증 회사로부터 보증금을 대신 받고 보증 회사에서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회수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임차인이 보증금을 안전하게 반환받기를 원할 때 임차인이 가입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에 개정을 통하여 임대사업자와 그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임차인 모두 의무적으로 보증보험에 가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보증보험료 및 처벌규정 입니다.

 

그동안은 임차인이 계약 시 확정일자를 신고하고 이삿날 전입신고를 하거나 전세권 설정을 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위 두 가지는 채권을 변제받을 때 순위를 정하기 위해서 하는 것으로 설정을 하더라도 임대인이 보증금 반환을 안 할 경우 별도의 소송을 통한 강제집행을 해야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임대보증금 보증보험에 가입을 하면 이러한 번거로움이 없이 보증 회사로부터 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2020년 8월 18일부터 이후에 신규로 임대사업자 등록을 한다거나 임대주택을 신규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시 임대보증금 보증보험에 가입을 해야 하며, 2020년 8월 18일 이전에 임대사업자로 등록이 된 경우에는 1년간 유예기간을 거쳐 2021년 8월 18일 이후에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기존 세입자와의 계약 갱신이나 신규 세입자와의 계약)부터 임대보증금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위반 시 처벌 규정

임대보증금 보증보험 가입 시 수수료(보험료)는 임대인이 75%, 임차인이 25% 부담하게 되어 있습니다. 임대인 입장에서는 보증보험 가입이 임차인을 위한 것인데 임대인이 75%를 내야 하는 것에 대해 불만이 있고, 임차인 역시 보증보험 수수료가 임대인의 신용등급이나 부채 비율에 따라서 보험료가 최대 5배까지 오를 수 있으며, 보증금의 미 반환이 임차인 책임이 아니라 임대인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며 늘어나는 비용에 대해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임대인들은 가입 의무를 위반하면 징역 등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으나 임차인들은 별다른 처벌이 없습니다. 이 부분도 논란이 되고 있는데 임대보증금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되는 주체가 임대인과 임차인 둘인데 임대인에게만 처벌을 부과를 하고 있습니다.

 

임대인 같은 경우에는 만약 보증보험에 가입을 하지 않을 경우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2년 이하의 징역까지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임차인은 처벌 규정이 없기 때문에 임차인이 보험 가입에 비협조적으로 나온다면 임대인으로서는 임차인의 보증보험 수수료까지 부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대 주택에 근저당권 설정이 없거나 적은 안전한 자산이나 임대보증금이 적은 경우라면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별도의 보험을 가입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법에 의해 의무 가입이 되어 있으므로 임대차 계약 시 특약에 보증보험 수수료를 명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법 개정으로 신용 상태가 안 좋은 임대인은 과도한 보증보험료 지출과 본인의 신용정보 노출뿐 아니라 임차인의 보증보험료 부담도 가중되어 임차인의 선택이 줄어들어 임대가 어려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한 임대주택 자진 말소나 보증금을 줄인 반 전세나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