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기생충의 종류와 감염 증상 및 감염경로, 구충제 복용 시기와 치료방법, 알벤다졸

by Mynickname 2021. 4. 27.
반응형

과거에는 비료나 가축 사료로 인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들어 화학비료를 주로 사용함으로써 기생충 발생 확률이 많이 낮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청결하지 못한 생활습관과 어류나 육류를 날 것으로 먹는 식습관 등으로 여전히 우리는 기생충과 더불어 살고 있습니다.

기생충 입니다.

1. 기생충 종류, 감염 증상, 치료방법

□ 회충

  • 대표적인 토양매개성 선충으로 오염된 날채소, 상추, 김치, 먼지 등을 통한 경구 감염
  • 소장에 기생하며 길이는 20~35Cm, 너비는 7~8mm를 가지는 대형 선충
  • 감염 증상은 출혈과 염증반응, 호산구 증다증, 회충 성 폐렴 증세, 식욕부진, 복부팽만, 구토, 설사, 영양장애, 장폐색증, 황달과 담석 유발
  • 구충제(알벤다졸, 메벤다졸, 이버맥틴)로 치료, 심한 경우 수술적 처치 필요

 편충

  • 토양매개성 선충으로 채소, 김치, , 토양 등에 묻어 있는 감염형 충란을 통해 섭취하여 감염
  • 맹장과 대장에 기생하며 가늘고 긴 선충으로 길이는 35~50mm
  • 감염 증상은 가벼운 위장 증상, 중증 시 복통, 설사, 점 혈변, 빈혈, 직장 탈출 유발
  • 구충제(알벤다졸, 메벤다졸)

 

 

 요충

  • 항문 주위를 긁은 손에 충란이 묻어 전파되고 옷이나 침구류를 통해서도 전파
  • 맹장과 대장에 기생하며 가늘고 긴 쌍선충으로 길이는 8~13mm
  • 항문 주위 가려움, 피부발적, 종창, 습진, 피부염, 복통, 설사, 야뇨증, 불안감, 불면증
  • 구충제(알벤다졸, 메벤다졸)

 간흡충

  • 패류나 민물고기 생식을 통해 전파, 자연산 민물고기 회, 젓갈, 조림, 오염된 칼, 도마 등을 통해 경구 감염
  • 담관에 기생하며 15~25mm, 너비 4~6mm의 크기로 합병증을 유발
  • 소화불량, 황달, 식욕부진, 담관염, 담석 형성, 간 비종대, 간경변, 담관암
  • 프라지콴텔(임산부는 투약 금기)

 폐흡충

  • 폐흡충 피낭유충에 감염된 민물 참게장, 가재즙을 통해 경구 감염
  • , 이소, 복부, 뇌 폐흡충이 있음
  • 심한 기침, 피 섞인 쇠 녹물 색 가래, 흉통, 전신 쇠약, 설사, 발작, 두통, 반신불수, 편마비, 시각장애, 뇌막염
  • 프라지콴텔(임산부는 투약 금기)

 장흡충

  • 은어 등 자연산 민물고기와 오염된 칼, 도마 등을 통해 경구 감염
  • 요코가와흡충, 타카하시 흡충, 미야타 흡충, 가시 입 이형흡충, 참굴 큰입이흡충 등
  • 설사, 복통, 고열, 복부 불쾌감, 소화불량, 식용부진, 피로감
  • 프라지콴텔(임산부는 투약 금기)

2. 기생충 예방 방법

기생충 예방을 위해서는 위생적인 생활습관과 식습관 관리가 필요 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오염된 손으로 음식을 먹어서는 안되고 식전에 올바른 손 씻기를 실시해야 합니다. 날 채소, 쌈 채소, 과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껍질을 벗겨 먹어야 하며 가급적 조리해서 먹어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토양을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속옷과 침구류는 삶아서 빨고 일광소독, 손톱깎이, 목욕 등을 자주 실시하며 침실, 거실, 아이들 놀이방 등의 청소를 자주 합니다.

 

자연산 민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패류, 달팽이, 새우, 포유류, 게, 가재 등의 생식을 삼가고 손질하는 데 사용한 칼이나 도마 등의 주방 용품은 바로 사용하지 말고 끓는 물에 10초 이상 가열 후 사용합니다유행지역의 모래 파리 등의 매개곤충이나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유행지역의 자연수, 약수를 생식으로 마시지 않아야 하고 반드시 끓여서 먹고 세수나 목욕을 할 때 그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을 하지 않습니다.

 

기생충에 감염된 동물(개 등)과 접촉하지 않아야 하며 고양이를 기를 때 분변을 신속하고 깨끗이 처리하고 직접적인 접촉을 피합니다.

3. 구충제 복용 방법 및 부작용

구충제 복용은 1년에 1~2회가 적당 하며 주로 봄과 가을에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공복이나 반 공복 상태에서 먹고 복용 일에는 금주하고 지방이 많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녁 식사 후 1~2시간 후에 복용하고 다음날 아침 배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구충제 종류에 따라 독성이 강한 약도 있으므로 어린아이 들은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의 상태에 따라 복통, 두통, 오한, 발진, 가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임산부와 수유모 같은 경우엔 구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반드시 약사와 상담 후 복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출처 : 2021년, 질병관리청

반응형

댓글